Docker 썸네일형 리스트형 도커 실행 옵션 정리 -d 옵션 -i -t 옵션이 컨테이너 내부로 진입하도록 attach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옵션이라면 -d 옵션은 Detached 모드로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d 옵션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입출력이 없는 상태가 되며 컨테이너 내부에서 프로그램이 터미널을 차지하는 포그라운(foreground)로 실행된다. Detached 모드인 컨테이너는 반드시 컨테이너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돼야 하며 포그라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으면 컨테이너는 종료된다. Detached 모드로 실행된 컨테이너에서 상호 입출력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exec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docker exec -i -t my_container /bin/bash exec 명령어를 사용하면 컨테이너 내부에서 명령어를 실행한 뒤 그 결과값을 반.. 더보기 도커 이미지와 컨테이너 도커 이미지 도커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필요한 요소이며 실행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 값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에 반해 컨테이너는 이미지를 실행한 상태이며 같은 이미지로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다. 도커에서 사용하는 이미지의 이름은 기본적으로 [저장소 이름]/[이미지 이름]:[태그]의 형태로 구성된다. developone/ubuntu:18.04 저장소 / 이미지 이름 / 태그 저장소(Repository) 이름은 이미지가 저장된 장소이다. 저장소 이름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이미지는 도커의 공식적인 이미지 저장소인 도커 허브(Docker Hub)의 공식 이미지를 뜻한다 이미지 이름은 해당 이미지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나타낸다. 위 예시에서는 우분투 컨테이너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이름으로 .. 더보기 도커란 무엇인가? What is Docker? 도커란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서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가상화 플랫폼이라고도 이야기를 하며 기존에 쓰이던 가상화 방법인 가상 머신과는 달리 하드웨어에 부하가 거의 없어서 클라우드 인프라 솔루션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개발자에게 개발 환경을 잡는 것이 실질적인 개발보다 시간을 더 쏟는 게 사실이었지만 Docker를 사용하면 환경 구성에 시간을 덜 쏟아도 된다. 위 사진에서 같이 도커 컨테이너는 가상화된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리눅스 커널을 공유하며 실행되기 때문에 성능 손실이 거의 없다. 컨테이너 안에는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라이브러리 및 실행 파일만 존재하기 때문에 용량 및 리소스가 대폭 줄어들며 특히 배포할 때 큰 이점을 발휘한다. 도커를.. 더보기 이전 1 2 다음